글
자바스크립트 정리 6 (객체)
## 객체
1. 객체 (프로퍼티와 메소드)
1) 호출 및 접근
- 객체이름.함수이름(); //-- 객체안의 함수 호출
- 객체이름.메소드이름(); //-- 객체안의 메소드 호출
- 객체이름.개체데이터이름 //-- 객체의 데이터(프로퍼티)에 접근
[참고] 객체지향 언어에서의 용어
- 함수를 메소드(Method)라는 용어를 사용
- 객체안의 데이터를 프로퍼티(property)라는 용어를 사용
* 'this.메소드'에서 this의 의미
- 자바스크립트를 객체기반 프로그램과 객체지향 프로그램에서 메소드가 소속된 객체를 의미한다.
## 클래스
1. 클래스 (객체의 틀, 비슷한 부류의 객체들의 공통성을 모은 것)
- 역활: 객체를 만드는 틀을 제공
-> A.class -> A-1 객채를 만들때 필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음
- 클래스를 통해서 만들어진 객체를 인스턴스라고 함
2. 클래스 프로퍼티
- 클래스 프로퍼티로 정의하면 클래스에만 생기고 객체에는 생기지 않는다.
- 클래스 프로퍼티는 해당 클래스의 모든객체에서 공유할 수 있다.
=> 동일한 프로퍼티가 모든 객체에 생기면 비효율 적이기 때문에
1) 형태
- 클래스이름.클래스프로퍼티이름
3. 인스턴트 프로퍼티
1) 형태
- 객체이름.프로퍼티이름
4. 클래스 메소드와 인스턴스 메소드
1) 형태
- 클래스이름.클래스메소드이름(); //-- 클래스 메소드 호출
- 객체이름.인스턴스메소드이름(); //-- 인스턴스 메소드 호출
2) 차이점
- 클래스메소드: 객체의 프로퍼티 값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메소드를 사용
-> 모든 객체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메소드를 사용
- 객체의 프로퍼티 값을 사용해야하는 메소드에 해용
-> 객체의 구분이 필요한 메소드에 사용
5. 객체로 구성되는 객체
- 객체 안에 객체들로 구성된 객체의 메소드를 호출하는 방법
-> 객체1.객체1-1.객체1-1-1.객체1-1-1-1(); //-- 점(.)을 이용하여 구분해서 호출
- 객체 안의 객체들로 구성된 객체의 프로퍼티 접근 방법
- 객체1.객체1-1.객체1-1-1.객체1-1-1-1 = 13;
'난독화 > 자바스크립트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바스크립트 정리 8 (정규표현식) (0) | 2013.11.26 |
---|---|
자바스크립트 정리 7 (이벤트) (0) | 2013.11.16 |
자바스크립트 정리 5 (함수) (0) | 2013.11.15 |
자바스크립트 정리 4 (배열) (0) | 2013.11.13 |
자바스크립트 정리 3 (반복문) (0) | 2013.11.13 |